Music

DG111

sisscv 2009. 11. 16. 17:26

 요즘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DG111 !!

한동안 심심치 않을 듯

 

 

 

Track Listings.doc

 [CD18 /19]

Vespro Della Beata Vergine 성모 마리아의 저녁기도

Claudio Monteverdi, 1567~1643

 

몬테베르디의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는 산 마르코 대성당의 악장이 되기 위한 시험적 단계로 치루어진 오디션을 위해서 작곡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곡된 시기는 베네치아에 부임하기 약 3년전으로(1610년) 여겨진다. 만토바에서 이미 궁정 음악가로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지만 1612년에 만토바 공작 비첸찌오 1세가 죽고 프란체스코가 즉위하자 저속한 내용의 오페라를 쓰라고 하명 하는가하면 봉급 마저도 제 때에 주지 않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자 만토바를 뜨기로 결심하고 이 작품으로 베네치아의 실력자들에게 선을 보이게된 것이다. 이 작품이 작곡자가 생존해 있을 때는 그렇게 널리 알려진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후세에 와서 더 유명해진 작품이다. 형식적으로는 시편송과 콘체르토(기악의 반주가 달린 성악곡)가 번갈아 배치된 모습이고, 성격적으로는 극적인 경향이 매우 짙다.  몬테베르디가 원천적으로 극장음악 작곡가라는 사실이 여기에서도 확인되는 셈이다. 

Claudio Monteverdi, 1567~1643

이탈리아의 크레모나에서 태어났습니다. 1567년은 신성로마 제국 황제 카알 5세(재위 1519-56)의 사후 11년이 되는 해로 그의 죽음은 국가와 교회와의, 지배와 신앙과의 중세적인 통일을 실현하고 있던 최후의 존재인 황제의 죽음이었고 이러한 중세적 통일이 붕괴되기 시작하고 있었으며 한편으로 신앙의 분열의 시기로 루터의 종교개혁 및 가톨릭측의 반종교개혁이 일어났던 시기였습니다.

그는 교회에서 봉직하였지만, 교회음악작품은 그리 많지 않으며 그의 교회음악은 엄격한 르네상스의 대위법에 기초한 작품과 바로크적기법과 이를 혼합한 작품이 있고 바로크적 기법의 영향을 받아서 화성적이고 극적인 요소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세속음악에 비하면 상당히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는 바로크시대의 작곡가로 알려졌지만 르네상스시대의 작곡가로도 분류할 수 있는 바, 그가 남긴 많은 작품들을 분석해 보면 시대적으로 뿐 아니라 창작기법 면에서도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과도기적 인물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그는 다른 과도기적 작곡과와는 달리 이전 시대와 새로운 시대의 교량 역할 뿐 아니라 구시대와 신시대의 이원론적 양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성숙된 바로크 음악의 모델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Track Listings.doc
0.49MB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UE NOTE THE COLLETOR'S EDITION 25CDs  (0) 2010.01.23
바흐의 간단한 연보  (0) 2009.11.16
말러 5번 교향곡 - 구스타보 두다멜  (0) 2009.11.14
정경화 - 멘델스존,부르흐  (0) 2009.11.12
리스트 - 헝가리광시곡  (0) 2008.12.21